Skip to content Skip to footer

얄궂은 상금·경품·복권 세금, 1분 계산법 《기타 소득별 세금》 ①

🎉 5분이면 알 수 있어요

(기타 소득에 해당하는) 상금·경품·당첨금 등의 세금 계산 방법

복권 당첨 방송을 보던 A씨, 주변 사람들에게 말합니다.

“어차피 저거 세금 떼면 얼마 안 남아~”

정말일까요?

복권 세금을 비롯해 상금이나 경품을 받을 때 세금이 발생한다는 것.

다들 알고 계실 겁니다. 그 프로세스를 정확히는 몰라도 말이죠.

내막을 알고 보면 간단하고 쉬운데, 깔끔하고 명확하게 이를 정리해주는 곳이 없기 때문에 정책정에서 정리했습니다.

  • 각종 대회나 공모전 우승으로 받은 상금
  • 복권 당첨금이나 이벤트 참여, 사행 행위를 통해 받은 당첨금 또는 경품

이 2가지에 대하여 세금이 어떻게, 얼마나 붙는지 말이죠.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공식뿐 아니라 중요한 예외 조건도 차곡차곡 간결히 정리해두었어요.

자, 오늘은 정책정에서 상금, 당첨금, 경품, 복권 등에 대해 붙는 세금을 총정리해드리겠습니다.

대회, 공모전 등에서 받은 상금

공모전 상금 세금, 4.4%로 계산하면 됩니다.

공모전, 경연대회 등에서 우승하여 받은 상금은 기타 소득에 해당합니다.

비슷한 맥락에서 현상금, 포상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들 모두 국세청에서 기타 소득의 ‘상금’ 항목으로 분류하는데요.

보통 상금은 지급처에서 먼저 세금을 뗀 다음 남은 금액을 지급하죠.

이렇게 미리 떼 간 세금을 어떻게 계산한 것이냐 하면, 상금의 80%를 필요경비로 산정하여 뺀 후 남은 20%를 소득으로 보고 여기에 22%의 세율1기타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을 적용하여 세금을 매긴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상금을 받게 되는 사람은 4.4%의 상금 세금을 뗀 후의 금액으로 지급받게 되는 것이죠.

💰 상금 1천만 원에 붙는 세금 계산법

1) 상금의 80%를 필요 경비2필요 경비란, 돈을 벌기 위해 발생한 지출을 말합니다.로 뺀다.
→ 1000만 원 – 800만 원 = 200만 원

2) 남은 금액을 기타 소득으로 잡는다.
→ 상금 1000만 원으로 얻은 기타 소득 = 200만 원

3) 기타 소득의 22%를 세금으로 매긴다.
→ 200만 원 × 22% = 44만 원

▶ 상금 1천만 원을 타면 내게 될 세금 = 44만 원
▶ 상금 1천만 원의 실수령액 = 956만 원

📌 상금이 25만 원 이하면 세금 안 나와요

25만 원 이하의 상금이라면, 주최측이 어디든 상금 세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3상금이 25만 원 이하라면 그 80%인 20만 원을 필요 경비로 뺀 후, 남은 20%인 5만 원만 소득으로 잡고 세금을 부과할 텐데요. 소득세법상 기타 소득은 5만 원을 초과할 때부터 세금을 부과합니다. 따라서 상금이 25만 원인 경우 필요경비를 뺀 후 집계되는 기타 소득은 5만 원이기 때문에,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금 25만 원 비과세 기준’을 주최측에서도 잘 몰라서 25만 원 이하의 상금인데도 세금을 떼고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금을 받는 쪽이든 주는 쪽이든 이 기준을 항상 유의하셔야 불필요한 상금 세금을 내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죠.

나아가 중요한 포인트 하나 더!

국가나 지자체에서 주최한 공모전에서 주는 상금이나 부상은 비과세입니다. 즉, 공공기관 등에서 주최한 행사로 받는 상금은 세금을 떼지 않고 고스란히 전액을 받게 되죠.

복권, 경품, 당첨금

복권 세금은 22%입니다. 단 200만 원 초과부터. 3억 원이면 33%예요.

복권 당첨금, 나아가 이벤트 등을 통해 얻은 경품이나 당첨금도 기타 소득으로 들어갑니다.

잠깐, 이벤트 경품은 돈이 아닌데 어떻게 기타 소득으로 잡히냐구요? 그 경품에 상응하는 금액이 나의 소득으로 집계되어 국세청에 반영됩니다. 애초에 경품을 지급하는 측에서 경품에 상응하는 금액을 내게 지급한 것으로 국세청에 신고를 하거든요. 물론 그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한 경품 세금까지 정리해서 말이죠.

또한 (적법한) 사행성 행위를 통해 얻은 돈도 국세청에서 “복권 당첨금 등” 항목의 기타 소득으로 파악합니다.

이 항목을 정확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아요.

  • 복권, 경품권 등 추첨권에 당첨되어 받는 금품
  • 슬롯머신·투전기 및 유사 기구를 이용해 얻은 금품
  • 토토·경마·도박 같은 사행행위에 참가하여 얻은 수익
  • 승마투표권 등4승마 투표권, 승자 투표권(경륜·경정), 소 싸움 경기 투표권(전통 소싸움 경기), 체육 진흥 투표권.의 구매자가 받는 환급금

이들 모두 기타 소득에 해당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기타 소득은 세금을 계산할 때 필요경비로 빼주는 금액이 거의 없다5예외는 2가지입니다.

1) 슬롯머신 당첨금일 시 슬롯머신에 투입한 금액을 필요경비로 뺀 후의 금액을 기타 소득으로 잡습니다.

2) 승마 투표권·승자 투표권으로 받는 환급금은 적중 단위 투표 금액을 필요 경비로 뺀 다음 기타 소득을 파악합니다.
고 보면 됩니다. 사실상 전액에 대해 바로 세금을 부과하는 거죠.

💰 당첨금 1천만 원에 붙는 세금 계산법

1) 필요 경비 뺄 것 없이 당첨금 그대로 기타 소득으로 잡는다.
→ 당첨금 1000만 원으로 얻은 기타 소득 = 1000만 원

2) 기타 소득의 22%를 세금으로 매긴다.
→ 1000만 원 × 22% = 220만 원

▶ 당첨금 1천만 원으로 내게 될 세금 = 220만 원
▶ 당첨금 1천만 원의 실수령액 = 780만 원

여기서 유의할 점은 복권 당첨금, 슬롯머신 당첨금, 승마 투표권 등의 환급금은 3억 원을 초과하면 세율이 22%가 아니라 33%로 올라간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4억 원의 복권에 당첨되었다면 22%가 아니라 33%의 세율이 붙어 복권 세금으로 1억 3,200만 원이 나오죠.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복권 당첨금은 3억 원까지 22%, 그 이상은 33%의 복권 세금이 부과됩니다.

💵 기타 소득 있을 때 세금 덜 내려면? <분리 과세 VS 종합 과세>

📌 복권은 200만 원까지 세금 안 붙어요

2023년부터는 복권 당첨금에 해당하는 기타 소득에 한하여 200만 원까지 세금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덕분에 200만 원 이하의 복권에 당첨된 사람은 복권 세금과 관련한 절차를 밟을 필요가 없어졌죠. 은행에 방문해서 신원만 확인하면 곧바로 당첨금을 수령할 수 있는 겁니다.

슬롯머신 및 유사 기구를 이용해 따낸 돈도 이 복권 세금 기준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슬롯머신 등으로 받은 금품이 건당 200만 원 이하일 시 세금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죠.

또한 승마·승자·소싸움경기·체육진흥 투표권은 개별 투표당 환급금이 10만 원 이하이거나, 배당률이 100배 이하로 적중한 가운데 개별투표당 환급금이 200만 원 이하일 때에도 세금이 붙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3rd version scaled
참고 자료

  • 복권 및 복권기금법 제2조 (법률 제19589호, 2023. 8. 8., 타법 개정).
  • 소득세법 제21조, 제84조 (법률 제20615호, 2024. 12. 31., 일부 개정).

  • 조세심판원 2020. 10. 6. 조심2020서1470.

  • 1
    기타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 2
    필요 경비란, 돈을 벌기 위해 발생한 지출을 말합니다.
  • 3
    상금이 25만 원 이하라면 그 80%인 20만 원을 필요 경비로 뺀 후, 남은 20%인 5만 원만 소득으로 잡고 세금을 부과할 텐데요. 소득세법상 기타 소득은 5만 원을 초과할 때부터 세금을 부과합니다. 따라서 상금이 25만 원인 경우 필요경비를 뺀 후 집계되는 기타 소득은 5만 원이기 때문에,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것입니다.
  • 4
    승마 투표권, 승자 투표권(경륜·경정), 소 싸움 경기 투표권(전통 소싸움 경기), 체육 진흥 투표권.
  • 5
    예외는 2가지입니다.

    1) 슬롯머신 당첨금일 시 슬롯머신에 투입한 금액을 필요경비로 뺀 후의 금액을 기타 소득으로 잡습니다.

    2) 승마 투표권·승자 투표권으로 받는 환급금은 적중 단위 투표 금액을 필요 경비로 뺀 다음 기타 소득을 파악합니다.
What's your reaction?
1Like
error: 이 콘텐츠는 복사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