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kip to footer

받는 공제 없다면, 《표준 세액공제》로 최소 7만 원 줄이세요

🎉 5분이면 알 수 있어요

<표준 세액공제> 대상, 혜택, 조건 및 전략

세금 신고 전 열심히 각종 공제 혜택을 찾아다닌 정책정 씨.

슬프게도 조건마다 하나씩 결격 사유가 있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찾지 못했습니다. 남들은 각종 공제를 받는다고 자료 준비하기 바쁜데 나만 별다른 절세 방법이 없는 기분, 좋지 않죠.

하지만 포기하지 마세요. 그럼에도 받을 수 있는 세액공제가 있습니다.

더군다나 ‘세제 혜택을 아무것도 못 받는 상황’이 조건인 공제 혜택 말이죠.

바로 <표준 세액공제>인데요.

혜택 못 받는 여러분이 마지막으로 꼭 확인해야 할 것, <표준 세액공제>입니다. 직장인은 13만 원, 사업자·프리랜서 등은 최소 7만 원의 세금을 줄일 수 있어요.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없다며, 또는 혜택을 받긴 했지만 절세액이 적다며 체념하듯 세금 신고 확정하지 마세요.

세금 신고 마무리를 앞둔 여러분을 위한 마지막 체크포인트.

<표준 세액공제> 대상, 혜택, 조건 및 전략을 정책정에서 총정리 해드리겠습니다.

서류 제출 없이 7~13만 원을 세금에서 뺄 수 있어요

표준 세액공제 7만원이 최소 절세액. 최대 13만원까지 가능해요.

<표준 세액공제>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특별한 기준 없이 적용 가능한 공제 혜택입니다.

따라서 별다른 서류 제출이 필요가 없는데요. 이 부분은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세액공제는 소득공제와 다르게 세금에서 특정 금액을 고스란히 빼준다는 점에서 절세 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어요. 그럼 <표준 세액공제>로 세금을 얼마나 뺄 수 있는지부터 살펴볼까요?

여러분의 상황에 따라 표준 세액공제액은 3가지로 나뉩니다.

  • 근로 소득이 있다면, 13만 원

근로 소득이 있는 자, 즉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 등은 <표준 세액공제>를 적용하면 납세할 금액에서 13만 원이 빠집니다.

  • 근로 소득 아닌 다른 소득이 있다면, 7만 원

근로 소득 이외의 소득이 있는 자, 즉 사업자나 프리랜서 등은 <표준 세액공제>를 받으면 세액에서 7만 원을 줄일 수 있습니다. 나아가 사업자나 프리랜서로 불리지 않더라도 일단 근로 소득 외의 다른 소득이 있어 세금 신고를 하는 자라면 <표준 세액공제>로 7만 원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성실 사업자라면, 12만 원

성실 사업 대상자란, 수입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 세금 신고 시 세무사 등의 확인을 거쳐야 하는 사업자를 말하는데요. 성실 신고 대상자인 사업자라면 이미 본인이 이에 해당하는 사실을 알고 계실 거예요.

이 경우에는 <표준 세액공제>로 받을 수 있는 공제액이 7만 원에서 12만 원으로 올라갑니다.

특별 소득·세액 공제 혜택을 받지 않아야 해요

표준 세액공제 대상, 특별 세액공제 및 소득공제를 받지 않는 자여야 합니다.

간단히 <표준 세액공제>는 별다른 세제 혜택을 받지 못하는 납세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표준 세액공제>의 조건은 “무언가에 해당해야 한다”는 조건이 아니라 “해당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이라 할 수 있는데요.

아래의 공제 혜택을 받는다면, <표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특별 소득공제• 건강보험료 소득공제
• 고용보험료 소득공제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 상환액 소득공제
특별 세액공제• 보험료 세액공제
월세 세액공제
의료비 세액공제
교육비 세액공제
기부금 세액공제

위의 공제 혜택 중 받는 것이 하나도 없다면? <표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잠깐! 절세액 비교해서 선택 가능해요

<표준 세액공제>를 받을 때의 절세액, 그리고 위의 표에 해당하는 특별 소득·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때의 절세액.

이 둘을 비교해서 어느 쪽의 혜택을 취할지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직장인 A씨의 예를 들어서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 직장인 A씨의 <특별 공제 혜택 VS 표준 세액공제> 선택 전략


1) 받을 수 있는 공제 따져보기
→ 직장인 A씨가 받을 수 있는 혜택 <건강보험료 세액공제>와 <월세·의료비 세액공제>
→ 이를 모두 적용 했을 때 줄어드는 세금: 총 10만 원


2) 표준 세액공제와 절세액 비교하기
→ 특별 소득·세액 공제를 받을 시 절세액: 10만 원
→ (위의 공제를 받지 않고) 표준 세액공제를 받을 시 절세액: 13만 원


3) 절세액이 더 큰 쪽 적용
→ 표준 세액공제의 절세액이 더 크므로,
A씨는 특별 소득·세액 공제를 신청하지 않고 표준 세액공제를 받기로 함

사업자 또는 프리랜서라면 같은 방식으로 7만 원(성실사업자는 12만 원)을 기준으로 절세액을 비교하면 되겠죠?

앞서 표로 살펴본 특별 소득·세액공제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더라도 실질적인 절세액이 얼마 안 되면 <표준 세액공제>가 더 유리할 수 있는데요. 보통 1인 근로자거나 부양 가족이 없는 경우, 지출이 적은 저소득자라면 <표준 세액공제>가 더 이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른 공제 혜택 신청하면 못 받아요

표준 세액공제 신청, 다른 혜택 없으면 홈택스에서 바로 가능해요

<표준 세액공제> 신청 방법은 간단합니다.

일단 당연히, 위의 표에서 살펴본 각종 세액공제 및 소득공제를 신청하지 않은 상태여야 합니다. 특별 소득·세액 공제가 들어가지 않은 상태여야 홈택스에서 <표준 세액공제>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표준 세액공제>를 위해 별도로 제출해야 할 서류는 없습니다. 홈택스로 종합소득세 신고 또는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칸에 <표준 세액공제>가 적용되었는지 확인하시고, 누락되었다면 이를 체크 및 입력하시면 됩니다.

참고 자료

  • 소득세법 제59조의4 제9항 (법률 제20615호, 2024. 12. 31., 일부 개정).

뉴스레터 3rd version scaled
What's your reaction?
1Like
error: 이 콘텐츠는 복사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