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비 최대 50% 돌려주는 《K패스 교통카드》 2025

🎉 5분이면 알 수 있어요
<K패스 교통카드> 신청 조건·대상, 유형별·지역별 환급 혜택, 신청 방법
오늘날, 대한민국 직장인 절반이 대중교통으로 출근합니다1Statista, Public transport in South Korea, 2023..
세계 1위의 대중교통 이용률을 자랑하는 우리나라 국민으로서, 매일같이 지하철과 버스로 교통비를 지출하고 있다면 필수로 갖추셔야 할 아이템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K패스 교통카드인데요.
이미 300만 명22025년 3월 국토교통부 발표 기준.이 K패스 교통카드를 발급 받았고, 평균 18,000원의 교통비를 돌려 받았습니다. K패스 환급 혜택이 더 큰 청년과 저소득층의 경우 각각 월 평균 20,000원과 37,000원을 돌려 받았죠.
2025년부터는 다자녀를 둔 이용자에게 추가 환급이 주어집니다. 또 각 지역마다 K패스의 혜택과 조건을 추가해서 시행하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오늘은 정책정이 아직 K패스 교통카드를 발급 받지 않으신 분들, 발급 받긴 했지만 내가 받을 수 있는 정확한 K패스 환급 헤택을 모르는 분들을 위하여 준비했습니다.
이름하여 <K패스 교통카드> 2025년 최신판 총정리!
정책정에서 K패스에 관한 궁금증을 한번에 모두 풀어드릴게요.
대한민국 성인이라면, 대부분 신청 가능해요
K-패스 교통카드 신청을 하려면 2가지 조건을 충족하면 되는데요. 매우 간단합니다.
1️⃣ 만 19세 이상
K패스 교통카드 신청을 위한 첫 번째 기준, 만 19세 이상 성인이어야 합니다.
청소년, 어린이는 K패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2️⃣ 210개 시·군·구 거주
K패스 교통카드 혜택을 받으려면 두 번째로 210개에 달하는 시·군·구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이어야 합니다.
대한민국의 시·군·구는 총 229개3정확히는 기초 지자체(226)에 세종·제주·서귀포시(3)를 집계한 값입니다..
사실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웬만한 성인들이라면 해당되는 수준이기 때문에, K패스 교통카드 사업에 미참여하는 지역을 살펴보는 게 더 빠릅니다.
아래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이라면 아쉽게도 K패스 교통카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K패스 교통카드 미 참여 지역>42025. 1. 기준.
전남 | 강진, 구례, 보성, 영광, 영암, 완도, 진도 |
경북 | 봉화, 영덕, 영양, 예천, 울릉, 울진, 의성, 청도, 청송 |
강원 | 고성, 양구, 정선 |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이용해야 해요
K패스는 어떤 교통비까지 환급해주는 걸까요?
환급 받기 위해선 K패스 교통카드를 쓸 때 2가지를 기억하시면 됩니다.
🚎 지하철, 버스, 광역 철도를 탈 때 사용한다
K패스 혜택은 전국의 지하철, 광역버스, 시내버스, 마을버스, GTX, 공항철도로 지출한 금액에 적용됩니다.
본인 거주지 외의 지역에서 쓴 교통비도 포함입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사람이 부산으로 여행을 가서 지출한 지하철, 버스 요금도 모두 K패스 혜택 대상이죠. 즉, K패스 카드로 전국 어디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든 K패스 환급 대상이 됩니다5물론 앞서 살펴본 K패스 교통카드 미참여 지역은 제외입니다..
단 고속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KTX, SRT는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쉽게 말해 별도로 승차권을 발급해서 이용한 교통수단은 K패스 환급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월 15회 이상 사용한다
교통비 환급을 받으려면 K패스 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횟수가 한 달에 15회 이상6하루 최대 2회까지 인정됩니다.이어야 합니다.
K패스 가입 첫 달에 한해서는 월 15회 미만이어도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첫 달을 제외하고) 월 대중교통 이용 횟수가 15회를 넘기면, 월 최대 60회분의 교통비까지 혜택 대상이 됩니다.
60회 이상 사용했다면? 높은 금액의 이용 건부터 환급 대상이 됩니다.
다만 이용자의 주거 지역에 따라 횟수 조건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오늘 콘텐츠를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 교통비 월 20만 원 넘기면, 초과분은 50%만 인정돼요
그 전에 짚고 넘어가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K패스 교통카드로 지출한 교통비는 일단 20만 원까지 전액 이용 요금으로 인정됩니다. 20만 원을 초과하면, 그 초과 금액은 50%만 혜택 대상이 됩니다.
예를 들어 한 달 동안 K패스 교통카드로 교통비를 40만 원 썼다면?
20만 원은 전액 교통비로 인정하고, 나머지 20만 원은 그 절반(50%)인 10만 원으로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총 30만 원을 기준으로 K패스 교통카드 환급 혜택이 주어지는 것이죠.
한 달 교통비의 20~50%를 돌려받아요
K패스는 이용자 유형에 따라 교통비의 20%부터 최대 53.3%까지 환급 받습니다.
이용자는 총 4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 두 명 이상의 자녀가 있다면
K패스 카드를 신청한 이용자가 2명 이상의 자녀를 두고 있고, 그중 최소 1명이 만 18세 이하라면 다자녀 유형에 해당합니다.
이 경우 신청자의 자녀가 2명일 시 교통비의 30%, 3명일 시 교통비의 50%를 환급 받습니다.
💵 저소득층이라면
기초 생활 보장 수급자로 선정되어 있거나 차상위계층 확인을 받았다면, 저소득 유형으로 K패스 환급 혜택이 추가됩니다.
저소득 유형은 K패스 카드로 지출한 교통비의 무려 53.3%를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 청년이라면
위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만 19~34세의 청년이라면, 한 달 동안 K패스 교통카드로 지출한 교통비의 30%를 환급 받습니다.
😀 성인이라면
위 3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성인, 즉 1) 자녀가 1명이거나 자녀가 없고, 2) 저소득층이 아니며, 3) 만 35세 이상인 이용자는 K패스 교통카드로 한 달 교통비의 20%를 환급 받습니다.
다른 유형에 비해 환급 비율이 낮다고 아쉬워하긴 아직 이릅니다.
지역별로 혜택의 조건과 범위를 조금씩 바꿔서 시행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는 아래에서 다시 상세히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환급일은 다음달 첫 주 이후예요
참고로 K패스 환급일은 교통카드를 발급한 카드사마다 다릅니다.
다만 정부에서 다음달 영업일 7일에 카드사로 지급 요청을 하기 때문에, 최소 다음달 첫 주가 지나 지급이 이루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지역에 따라 환급 혜택이 늘어나요
앞서 알려드린 조건과 혜택을 바탕으로, 지자체에서는 각자 K패스 혜택을 조금씩 넓혀 맞춤형으로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경기·인천, 부산, 세종, 광주, 경남 주민이라면 아래에서 더 확대된 K패스 환급 혜택을 확인해 보세요.
👵 경기·인천, 나이 범위가 더 넓어져요
K패스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경기도민, 인천시민이 누리는 추가 혜택은 2가지입니다.
- 만 35~39세도 청년으로 인정 ▶ 환급률 10% 추가
K패스 교통카드의 청년 혜택은 기본적으로 만 19~34세 성인에게 적용되는데요.
경기도민, 인천시민이라면 만 35~39세도 청년으로 인정 받아 환급률이 20%에서 30%로 올라갑니다.
- (인천) 만 65세 이상 경로 우대 ▶ 환급률 10% 추가
인천 시민에 한하여, 만 65세 이상의 K패스 교통카드 이용자는 기본 환급률 20%에 10%가 추가되어 총 30%를 환급 받습니다.
💸 세종, 선결제하면 3만 원 무료로 타요
세종시에 거주하는 K패스 교통카드 이용자라면, 월 2만 원 선결제 시 충청권 대중교통을 무려 5만 원까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72024년 9월부터 시행.. 즉 선결제한 2만원을 포함해 5만원까지 100% 환급되는 것이죠.
5만 원 초과분부터는 K패스 교통카드의 기본 환급 혜택이 적용됩니다.
🎟 광주, 환급률 매우 높아져요
K패스 카드를 이용하는 광주 시민은 전반적인 환급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 만 19~39세 ▶ 환급률 50%
광주 시민은 만 19~39세를 청년이라 보고, 이에 해당할 경우 한 달 교통비의 50%를 환급해 줍니다.
청년의 연령 범위를 넓힌 데다, 기존의 청년 환급률에 무려 30%를 더 높인 것이죠.
- 저소득층 ▶ 환급률 11% 추가
광주 시민이라면 저소득층에 해당할 경우 K패스 교통카드로 사용한 대중 교통 이용액의 64%를 환급 받습니다.
🌳 경남, 횟수 제한 없고 100%까지 환급 돼요
경남도민이라면, 더 편리하게 K패스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82025년 1월 기준.
- 월 대중교통 이용 횟수 제한 X
앞서 말씀드렸듯, K패스 교통카드는 한 달에 최대 60회분까지만 환급 대상에 포함되는데요.
경남도민은 이 제한이 없습니다.
경남도민의 대중교통 이용 요금은 월 이용 횟수에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환급 대상이 됩니다.
- 만 35~39세도 청년으로 인정 ▶ 환급률 10% 추가
경기·인천과 마찬가지로 경남도 만 19~39세를 청년이라 봅니다.
따라서 경남 주민들은 만 35~39세도 K패스 이용자라면 청년에 포함되어 교통비의 30%를 환급 받습니다.
- 저소득층 및 노년층 ▶ 100% 환급
경남에 거주하는 저소득층과 만 75세 이상은 K패스 교통카드 사용 시 요금의 100%를 환급 받습니다.
나아가 만 75세 이상 어르신의 경우 ‘한 달에 최소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K패스 환급을 받는다’는 조건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한 달에 한 번만 K패스 교통카드를 이용해도 환급 혜택이 주어집니다.
🌊 부산, 동백패스와 비교해서 더 큰 금액으로 환급돼요
부산은 2023년 8월부터 자체 사업으로 동백패스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부산 대중교통을 4만 5천 원 이상 사용할 시 초과 금액을 최대 4만 5천 원까지 지역 화폐로 환급해주는 지원 사업입니다. 동백패스는 45만 명이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부산에서 대중적인 혜택이죠.
이 동백패스 카드로도 K패스 가입이 가능한데요. 이 경우, 동백패스와 K패스의 혜택을 자동으로 비교하여 둘 중 더 큰 금액의 혜택이 주어집니다.
K패스, 원하는 카드를 골라 신청해요
K패스 교통카드는 현재 12곳의 카드사에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총 36종의 K패스 교통카드가 나와 있는데요.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카드사에서 다양하게 마련해 놓은 카드 상품 중 원하는 것을 골라 발급 받으시면 됩니다.
발급하시는 김에 카드사별로 다양하게 마련한 카드 혜택을 비교하여 나에게 가장 좋은 카드를 골라 발급 받으시는 게 좋겠죠.
📍 이미 알뜰교통카드를 쓰고 있다면? 등록만 하면 끝나요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를 쓰고 있었다면, K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서 등록만 하면 바로 K패스 혜택이 시작됩니다.
홈페이지의 경우 K패스 메인 우측 상단의 [회원가입]을 눌러 사용 중인 카드번호를 입력한 후 회원 가입을 마치면 모든 절차가 끝납니다.
참고 자료
- 국토교통부, “‘K-패스’ 출시 10개월 만에 이용자 300만명 돌파 [보도자료]”, 2025. 3. 3.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돈도 돌려준다고? 한국 온 외국인들이 극찬한다는 ‘이것’!”, 국토교통부 네이버블로그, 2024. 11. 8., https://blog.naver.com/mltmkr/223652518861.
- 1Statista, Public transport in South Korea, 2023.
- 22025년 3월 국토교통부 발표 기준.
- 3정확히는 기초 지자체(226)에 세종·제주·서귀포시(3)를 집계한 값입니다.
- 42025. 1. 기준.
- 5물론 앞서 살펴본 K패스 교통카드 미참여 지역은 제외입니다.
- 6하루 최대 2회까지 인정됩니다.
- 72024년 9월부터 시행.
- 82025년 1월 기준